고을마을 : 나의 코딩 이야기

항해99 7기 1주차 WIL[JWT, API] 본문

항해99 7기/WIL(Weekly I Learned

항해99 7기 1주차 WIL[JWT, API]

고을마을 2022. 5. 15. 21:08

2022년 5월 15일 

항해99에 참여한지 1주일이 된 날이다.

 

1주간 공부하면서 제대로 이해 못했던 부분을 다시한번 살펴보고 그 내용을 적어보고자 한다.

 

1. JWT(Json Web Token) 이란?

JWT(Json Web Token)란 Json 포맷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속성을 저장하는 Claim 기반의 Web Token이다. JWT는 토큰 자체를 정보로 사용하는 Self-Contained 방식으로 정보를 안전하게 전달한다. 주로 회원 인증이나 정보 전달에 사용되는 JWT는 아래의 로직을 따라서 처리된다.

JWT(Json Web Token)는 Header, Payload, Signature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Header는 typ과 alg 두 가지 정보로 구성된다. alg는 헤더(Header)를 암호화 하는 것이 아니고, Signature를 해싱(원본 문자열을 알아볼 수 없는 난해한 문자열로 정의(표현) 하는 과정) 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지정하는 것이다.

   - typ: 토큰의 타입을 지정 ex) JWT

   - alg: 알고리즘 방식을 지정하며, 서명(Signature) 및 토큰 검증에 사용 ex) HS256(SHA256) 또는 RSA

 

 

Payload는 토큰에서 사용할 정보의 조각들인 클레임(Claim)이 담겨 있다.

클레임은 총 3가지로 나누어지며 Json(Key/Value) 형태로 다수의 정보를 넣을 수 있다.

   -등록된 클레임

       : 토큰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이미 정해진 종류의 데이터들로 모두 선택적 작성이 가능하다.

         iss(토큰 발급자), sub(토큰 제목), aud(토큰 대상자), exp(토큰 만료시간), nbf(토큰 활성 날짜), iat(토큰 발급 시간),                 jti(JWT 토큰 식별자)

   -공개 클레임

       : 사용자 정의 클레임으로 공개용 정보를 위해 사용된다. 충돌 방지를 위해 URI포캣을 이용한다.

   -비공개 클레임

       : 사용자 정의 클레임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임의로 지정된 정보를 저장한다.

 

Signature는 토큰을 이코딩하거나 유효성 검증을 할때 사용하는 고유한 암호화 코드이다. Signature는 위에서 만든 헤더와 페이로드의 값을 각각 BASE64Url로 인코딩해서 생성한다.



JWT의 장점

1. 토큰 자체가 인증된 정보이기 때문에 세션 저장소와 같은 별도의 인증 저장소가 필수적으로 필요하지 않다.

2.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서버가 저장해두지 않아도 된다.

3. signature를 공통키 개인키 암호화를 통해 막아두었기 때문에 데이터에 대한 보완성이 늘어난다.

 

JWT의 단점

1. 토큰이 탈취당하면 만료될 때까지 대처가 불가능하다. 때문에 exp(토큰 만료시간)을 짧게 가져가야한다.

 

 


2.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우리가 주목해야할 부분은 Interface이다.
Interface란 어떤 두 가지가 서로 연결되고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장소/방법/상황을 의미한다. 여기서 '어떤 두 가지'는 사람과 사람, 사람과 기계, 기계와 기계가 될 수 있다.
키보드를 예로 들 수 있는데 키보드를 통해 컴퓨터에 문자를 입력해 명령을 내릴 수 있고, 이는 기계와 사람 간의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다.
즉, API는 프로그램들끼리 서로 연결되고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만드는 방법이다.

 

내가 파이참에서 작업했던 html 파일과 app.py에 나타나 있는 GET, POST가 바로 이것!

    - GET : 통상적으로! 데이터 조회(Read)를 요청할 때          예) 영화 목록 조회

    - POST : 통상적으로! 데이터 생성, 변경, 삭제 요청할 때     예) 회원가입, 회원탈퇴, 비밀번호 수정

 


1주일 총평 :

정말 정신없는 1주일이었다.

개발지식은 웹개발종합반에서 배운 지식 밖에 없는 상태에서 미니프로젝트 만들게 되었고,

강의+구글링을 통해 로그인+회원가입을 구현했으며.

자바 지식은 전무한 상태에서 자바문법을 공부해가면서 알고리즘을 풀었던 1주일.

너무 어렵고도 험난했달까?ㅠㅠ

 

개발 바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이러한 어려움은 감내해야하는거겠지.

아직도 갈길이 멀었다. 내일은 보다 더 공부가 잘되고 객체지향 개념을 습득하고 과제도 풀수 있는 날이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