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바
- 독서
- 프로그래머스
- org.h2.jdbc.JdbcSQLSyntaxErrorException
- jwt
- JSESSIONID
- WIL
- 김영한
- 스프링시큐리티
- 객체지향
- 인프런
- unmappable character for encoding MS949
- MS949
- 인텔리제이
- 스파르타코딩클럽
- java
- PUT과 PATCH
- 자바스프링
- HTML
- mysql
- 에러해결법
- 항해99
- .decode('utf-8')
- 알고리즘
- TIL
- ServerSelectionTimeoutError
- 엔터키 이벤트
- API
- java.sql.SQLException
- Code
- Today
- Total
고을마을 : 나의 코딩 이야기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편 (4. 컴포넌트 스캔) 본문
@Configuration
@ComponentScan
public class AutoAppConfig {
}
컴포넌트 스캔을 사용하려면 먼저 @ComponentScan을 설정 정보에 붙여준다.
(@Configuration은 싱글톤을 유지하기 위함이라는거 저번 시간에 배웠다)
@Component
public class RateDiscountPolicy implements DiscountPolicy{
@Component
public class MemoryMemberRepository implements MemberRepository{
@Component
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implements MemberService{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의존관계 자동 주입을 위해 @Autowired 사용.
public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Component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Autowired //의존관계 자동 주입을 위해 @Autowired 사용.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
@ComponentScan은 @Component가 붙은 클래스를 스캔해서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
@Autowired는 의존관계를 자동으로 주입해준다.
모든 자바 클래스를 다 컴포넌트 스캔하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 그래서 꼭 필요한 위치부터 탐색하도록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Configuration
//빈을 자동적으로 끌고 오기 위한 @ComponentScan.
@ComponentScan(
basePackages = "com.springbasic.kyh_springbasic.member",
)
public class AutoAppConfig {
basePackages를 통해서 스캔할 패키지만 따로 지정해줄수도 있다.
김영한님의 권장방법
패키지 위치를 지정하지 않고, 설정 정보 클래스의 위치를 프로젝트 최상단에 두는 것이다.
최근 스프링 부트도 이 방법을 기본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서 프로젝트가 다음과 같이 구조가 되어 있으면
com.hello
com.hello.serivce
com.hello.repository
com.hello → 프로젝트 시작 루트, 여기에 AppConfig 같은 메인 설정 정보를 두고,
@ComponentScan 애노테이션을 붙이고, basePackages 지정은 생략한다.
이렇게 하면 com.hello 를 포함한 하위는 모두 자동으로 컴포넌트 스캔의 대상이 된다.
그리고 프로젝트 메인 설정 정보는 프로젝트를 대표하는 정보이기 때문에 프로젝트 시작 루트 위치에 두는 것이 좋다 생각한다.
컴포넌트 스캔은 @Component 뿐만 아니라 다음과 내용도 추가로 대상에 포함한다.
@Component : 컴포넌트 스캔에서 사용
@Controlller : 스프링 MVC 컨트롤러에서 사용
@Service : 스프링 비즈니스 로직에서 사용
@Repository : 스프링 데이터 접근 계층에서 사용
@Configuration : 스프링 설정 정보에서 사용
빈 중복 등록과 충돌
자동 빈 등록 vs 자동 빈
등록 컴포넌트 스캔에 의해 자동으로 스프링 빈이 등록되는데, 그 이름이 같은 경우 스프링은 오류를 발생시킨다. ConflictingBeanDefinitionException 예외 발생
수동 빈 등록 vs 자동 빈 등록
이 경우 수동 빈 등록이 우선권을 가진다. (수동 빈이 자동 빈을 오버라이딩 해버린다.)
Overriding bean definition for bean 'memoryMemberRepository' with a different definition: replacing [Generic bean: class [com.springbasic.kyh_springbasic.member.MemoryMemberRepository]; scope=singleton; abstract=false; lazyInit=null; autowireMode=0; dependencyCheck=0; autowireCandidate=true; primary=false; factoryBeanName=null; factoryMethodName=null; initMethodName=null; destroyMethodName=null; defined in file [C:\Users\Ko\Desktop\kyh_springbasic\build\classes\java\main\com\springbasic\kyh_springbasic\member\MemoryMemberRepository.class]] with [Root bean: class [null]; scope=; abstract=false; lazyInit=null; autowireMode=3; dependencyCheck=0; autowireCandidate=true; primary=false; factoryBeanName=autoAppConfig; factoryMethodName=memberRepository; initMethodName=null; destroyMethodName=(inferred); defined in com.springbasic.kyh_springbasic.AutoAppConfig]
물론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이런 결과를 기대했다면, 자동 보다는 수동이 우선권을 가지는 것이 좋다.
하지만 현실은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설정해서 이런 결과가 만들어지기 보다는 여러 설정들이 꼬여서 이런 결과가 만들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면 정말 잡기 어려운 버그가 만들어진다. 항상 잡기 어려운 버그는 애매한 버그다. 그래서 최근 스프링 부트에서는 수동 빈 등록과 자동 빈 등록이 충돌나면 오류가 발생하도록 기본 값을 바꾸었다.
그래도 실행하고싶다면 실행하면 나오는 에러창의
Action:
Consider renaming one of the beans or enabling overriding by setting spring.main.allow-bean-definition-overriding=true
에서
spring.main.allow-bean-definition-overriding=true을 application.properties에 기입하자.
'인프런 김영한 강의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편 (5. 조회 할 Bean이 2개 이상이면?) (0) | 2022.08.07 |
---|---|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편 (3- 싱글톤 컨테이너) (0) | 2022.08.03 |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편 (2- AppConfig를 통한 좋은 객체지향 원칙 적용) (0) | 2022.08.02 |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편 (1- SOLID원칙, HashMap과 ConcurrentHashMap) (0) | 2022.08.01 |